HOME 건강/질환정보
영양정보
질환에 따른 영양관리
대장
변비란 배변 습관이 어떤 이유로 서서히 또는 급격히 달라져 변이 만족스럽게 나오지 않는 경우를 말하며, 병이 아니라 일상적인 증상에 불과하므로 식사요법, 적절한 운동, 규칙적인 생활로 대장을 정상적으로 회복시키면 고칠 수 있습니다.
경련성 변비와 이완성 변비 두가지가 있으며, 종류에 따라 식사요법도 달라집니다.
사람의 소화효소로는 분해되지 않는 식품 중의 성분으로 신선한 채소, 과일, 정제되지 않는 곡류(현미, 잡곡, 통밀)속에 다량 함유되어 있습니다
섬유소의 기능은 소화되지 않고 대장으로 가 다른 성분들과 함께 대변을 만드는데 이때 물을 흡수하면서 부피가 증가되어 변을 부드럽게 배변시켜주는 작용을 합니다
식품군 | 식품의 예 |
---|---|
곡류 | 현미, 보리, 옥수수가루, 오트밀, 콘후레이크, 통밀, 고구마, 감자, 토란 |
두류 | 팥, 대두, 강낭콩, 완두콩, 녹두, 된장 |
견과류 | 밤, 호두, 은행, 참깨, 잣, 땅콩, 아몬드, 해바라기씨 |
채소류 | 배추, 무청, 양배추, 파, 오이, 미나리, 상추, 부추, 풋고추, 도라, 고사리, 고비, 버섯 |
해조류 | 김, 미역, 미역줄기, 다시마. 파래, 톳 |
과일류 | 사과, 배, 수박, 참외, 자두, 살구, 딸기, 키위, 무화과 |
우유 및 유제품 | 우유, 가당우유, 밀크쉐이크, 에그노그, 아이스크림, 요구르트 |